본문 바로가기
IT

로블록스 게임 TOP 6

by Crisi-Tunity 2023. 2. 16.
반응형

최근 몇년간 로블록스 게임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체 어떤 매력이 있기에 인기가 있는지 로블록스 게임 몇 가지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로블록스 인스타그램


1. 도어즈 (Doors)


로블록스의 대표적인 공포게임 중 한 가지입니다. 1인칭 시점으로 플레이합니다. 호텔이 주 배경으로 1층부터 100층까지 올라가면서 수많은 문을 열 때마다 괴물이 나타날까 조마조마 하면서도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긴장감을 즐기는 게임입니다. 높은 그래픽과 어두운 분위기와 연출이 인상적이며 많은 유튜버들이 플레이하면서 게임 순위가 오르게 되었습니다. 플레이 도중 놀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2. 킹레거시 (King Legacy)


만화 원작 원피스를 소재로 한 RPG 게임입니다.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 진입 장벽이 낮고 연령대도 낮은 편입니다. 유튜브에서의 유행하면서 인기가 높아진 게임입니다. 주어진 미션을 해결하면서 레벨과 스탯을 올릴 수 있습니다. 다른 유저와 결투해서 몸값에 해당하는 현상금을 올리기도 합니다.  

 


3. 블록스 프로츠 (Blox Fruits)


킹 레거시와 마찬가지로 원피스를 소재로 한 게임입니다. 가장 인기가 많은 로블록스 게임 중 하나입니다. 원피스 만화영화 와노쿠니 극장판이 개봉하고 게임이 업데이트 되면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킹 레거시보다는 난이도가 어려운 편에 속합니다. 

 


4. 배드워즈 (Bed Wars)


각 유저는 공중섬에서 플레이를 시작합니다. 에메랄드 섬에서 자원을 얻어 상점에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유저는 전투에서 죽으면 ‘침대’에서 다시 살아날 수 있는데 각 유저는 서로의 침대를 파괴하려고 합니다. 개인플레이, 팀전 등 형식이 다양하고 이벤트도 있습니다. 가끔 동시 접속자가 100K를 넘어가는 등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에서도 배드워즈 게임이 있는데 난이도가 훨씬 어렵습니다. 

 


5. 3008


공포 게임 중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이케아 세계관이 깔려있는 특이한 설정의 게임입니다. 낮에는 나무판자와 음식을 찾아 집을 짓고 밤에는 집에서 생활합니다. 낮에도 괴물이 존재하지만 밤에는 괴물이 유저를 공격합니다. 괴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집에서 안전하게 생활합니다. 구조는 매우 단순하고 맵의 크기는 매우 큽니다. 어떤 방향으로도 외부 경계선이 보이지 않습니다. 붉은 밤에는 이케아 직원의 달리기 속도가 빨라지고 데미지가 늘어납니다. 

 

 


6. 소드 파이터 시뮬레이터 

(Sword Fighter)


몬스터를 잡고 더 좋은 검을 획득하는 것이 기본 룰인 RPG 게임입니다. 단점으로는 미션이 없고 같은 행동을 반복해야 해서 지루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2023.01.11 - [IT 및 생활정보] - 초보자도 사용할 수 있는 작곡 프로그램

 

초보자도 사용할 수 있는 작곡 프로그램

알고 보면 쉬운 디지털 작곡 나만의 음원 만들기 흔히 작곡이라고 하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들만의 고유물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요. 디지털 세상에서는 정말 안 되는 게 없나 싶은 정도

crisitunity.co.kr

2023.01.12 - [IT 및 생활정보] - 이미지 편집, 초보자용 디자인 플랫폼 사용하기

 

이미지 편집, 초보자용 디자인 플랫폼 사용하기

누구나 디자이너가 될 수 있습니다 블로그나 SNS 그리고 보고서와 기획서 등을 사용하다 보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좀 더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독창적인 다자인이 필요합니다. 이런 경

crisitunity.co.kr

2023.02.05 - [IT 및 생활정보] - 효과적인 업무, 보고서, 과제 : 퀴즈배틀 카훗 Kahoot

 

효과적인 업무, 보고서, 과제 : 퀴즈배틀 카훗 Kahoot

선생님, 직장인, 학생으로서 수업이나 업무 그리고 과제를 준비하다 보면 내용도 중요하지만 해당 내용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청중에게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될 텐데요 청중 참여 방식

crisitunity.c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