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은 도서관/천문학

별자리 찾기, 별자리 의미, 계절별 별자리 요약

by Crisi-Tunity 2022. 12. 20.
반응형

출처 : Pixabay / Gerd Altmann

계절별 별자리

<북반구 주극성>
북반구에서 1년 내내 보인다.

1. 작은곰자리 (Ursa Minor)
 작은곰자리는 북쪽 끝에 위치한다. 북반구 전역에서 항상 보인다. 큰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폴라리스는 곰의 꼬리 끝은 맡고 있다. 폴라리스는 북극성이라고도 한다. 북극성은 지구가 자전할 때 구심점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밤하늘에 거의 고정되어 있다. 물론 세차운동에 따라 북극성은 이 자리에 영구적으로 있지 않을 수도 있다.

2. 카시오페이아자리 (Cassiopeia)
 카시오페이아자리는 밝은 별들이 뚜렷하게 W모양을 이루고 있다. 밤하늘에서 굉장히 선명한 별자리이다. 카시오페이아는 페르세우스 전설에 나오는 허영심 강한 여왕이자 안드로메다의 어머니이다. 카시오페이아는 자신의 미모를 자랑하다 질투의 여신 헤라의 분노를 사서 바다괴물 케토스를 불러들인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은하수 북쪽의 널찍하게 자리 잡고 있다. 

3. 큰곰자리 (Ursa Major)
 가장 유명한 별자리중 하나인 큰곰자리는 1년 내내 북반구 하늘에 고정되어 있다. 남반구 중 위도에서도 관찰이 된다. 큰곰자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7개의 별, 즉 북두칠성이 관찰된다. 별자리 가운데 세 번째로 크다. 큰곰자리의 별 대부분은 3억 년 전 같은 성단에서 유래했다. 큰곰자리 별은 지구 기준 약 80광년 거리에서 함께 움직이고 있다.

<북반구 봄 / 남반구 가을>
4~6월 일몰 후 하늘에 제일 높게 뜬다.

1. 게자리 (Cancer)
 황도 12공 중에서 가장 희미하다. 게자리의 게는 반신반인 헤르쿨레스에게 덤볐다가 그의 발밑에서 으스러진 게를 상징한다. 게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알타르프(게자리의 베타 별)는 지구로부터 290광년가량 떨어져 있다.

2. 처녀자리 (Virgo)
 처녀자리는 사실 어떤 형상과도 닮지 않았다. 하지만 고대 시대부터 하늘의 처녀(수확의 여신)와 관련이 있었다. 가장 밝은 별은 스피카(처녀자리의 알파 별)는 ‘밀의 이삭’이라는 뜻이다. 처녀자리는 유명한 이유는 은하들이 몰려있기 때문이다. 


<북반구 여름/남반구 겨울>
이 별자리들은 7~9월 이른 저녁에 가장 잘 보인다.

1. 천칭자리(Libra)
 황도 12궁 중에서 유일하게 동물이 아닌 사물을 나타내는 별자리이다. 한 때 전갈자리에 집게발이라는 시시한 역할로 분류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로마 시대 이후 천칭자리는 처녀자리의 처녀가 높이 들고 있는 정의의 저울로 여겨지고 있다. 지구로부터 70광년가량 떨어져 있다. 천칭자리의 알파 별은 주베넬게누비, 베타 별인 주베넬스카말리이다. 

2. 전갈자리 (Scorpius)
 전갈자리는 가장 오래된 별자리 중 하나이다. 전갈의 몸통은 알파 별인 붉은색 안타레스가 맡은 머리에서 시작되어 람다 별인 파란색 샤울라까지 구불구불 이어진다. 이중 안타레스는 파격적인 별이다. 초거성으로서 태양에서 목성 궤도까지 거의 삼킬 만큼 크다. 

3. 궁수자리 (Sagittarius)
 흔히 궁수자리는 활을 들고 있는 반인 반마 켄타우르스로 표현되지만, 현대에 와서는 찻주전자로 본다. 궁수자리는 별이 가장 풍성한 곳 중 하나이다. 궁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카우스 오스트랄리스는 백색 거성으로 태양과 비슷한 동반성을 두고 있다. 밝기는 1.8등급 거리는 145광년이다. 

<북반구 가을 / 남반구 봄>
이 별자리 무리는 10~12월 저녁 무렵 제일 높이 뜬다.

1. 물고기자리 (Pisces) 
 물고기자리는 물고기 두 마리의 엉성한 수직선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 신화에서 두 물고기는 괴물 티폰을 피하려고 변장한 비너스와 큐피드를 상징한다. 물고기자리의 알파 별 알레샤는 두 개의 흰별로 구성된 쌍성계로 각각 4.2등급, 5.2등급이며, 지구에서 140광년가량 떨어져 있다. 

2. 물병자리 (Aquarius)
 기원전 2천년부터 물병으로 물을 따르는 사람으로 여겨졌다. 현재는 올림푸스 신들에게 술을 따랐던 가니메데로 알려져 있다. 물병자리의 물병은 Y모양이다. 물병자리의 알파 별은 사달멜리크, 베타 별은 사달수드 이다. 각각 지구에서 760광년, 610광년씩 떨어져 있다. 밝기는 2.9등급이다.

3. 염소자리 (Capricornus)
 모든 별자리 중 가장 오래된 별자리 중 하나이다. 고고학적 증거로서 4천년 전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예술작품에서 발견되었다. 염소자리의 알파 별인 알게디는 쌍성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이 두 개의 별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두 별은 노란색이며 3.6등급, 4.2등급이다. 거리는 108광년, 635광년 떨어져 있다.

<북반구 겨울/남반구 여름>
이 별자리들은 1~3월 일몰 후 잘 뜬다.

1.황소자리 (Taurus)
 돌진하는 모습의 황소와 놀랄 만큼 닮았다. 황소자리는 약 1만 8,000년 전 동궁에서 벽화로 발견되기도 했다. 황소자리에는 약 200개의 별로 무리지어져 있는 V모양의 히아데스성단이 있다. 황소자리의 알파 별은 알데바란으로 지구에서 약 65광년 거리에 있다. 밝기는 0.85등급이다. 
 
2.쌍둥이자리 (Gemini)
 쌍둥이 자리는 밝기가 거의 똑같은 선명한 별이다. 신화에 나오는 스파르타 왕비 레다가 낳은 쌍둥이 아들들(카스토르, 폴룩스)에게서 이름을 따왔다. 이 두 별을 합친 밝기는 1.6등급이며 약 34광년 거리에 있다. 

3. 오리온자리 (Orion)
 오리온자리는 유명하고 알아보기 쉬운 별자리중에 하나이다. 천구적도의 있는 오리온자리는 황소자리와 마주하고 있는 빼어난 사냥꾼의 모습이다. 오리온자리의 알파 별은 베텔게우스, 베타 별은 리겔이다. 리겔은 밝기 0.1등급, 지구로부터 860광년 떨어져 있다. 베텔게우스는 0.3등급~1.2등급 사이이며 지구로부터 640광년 떨어져 있다. 


<남반구 주극성>
이 별자리들은 남반구에서 1년 내내 보인다.


1. 두루미자리와 봉황새자리
2. 공작자리와 망원경자리 

반응형

'작은 도서관 >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명한 태양계의 행성, 간단 정보  (0) 2022.12.14

댓글